사자후닷컴은 인터넷 불국정토를 지향합니다.
회원가입
|
로그인
HOME
상황별법문
ㆍ교리
ㆍ추상
ㆍ내면상태
ㆍ외적상황
ㆍ대상직업
ㆍ경제상황
ㆍ대상연령
ㆍ특수상황
ㆍ출처분류
ㆍ경전명
추천!나만의법문
사자후법문
교계종합
종단뉴스
인물/동정
뉴스/간행물
사찰검색
테마사찰
지역별사찰
종단별사찰
정보변경요청
한국의사찰
불교용어집
문화재정보
불교와생활
공지사항
|
전체보기
|
불교신문(17070)
|
한국불교신문(1269)
|
밀교신문(590)
|
금강신문(7940)
|
주간불교(3347)
|
미디어붓다(1087)
|
현대불교(10079)
|
호남불교(219)
|
구례 화엄사, 구례가족센터에 후원금 전달
[원문]
[금강신문 홈]
조계종 구례 화엄사(주지 우석 스님)는 7월 24일 구례군가족센터(센터장 김남패)에 후원금 800만 원을 전달했다.구례군가족센터는 전달받은 기금으로 관내 다문화 가정, 한부모가정 등 이동이 불편한 취약계층을 위한 차량 구입에 사용할 예정이다.김남태 센
[더보기]
백중 특집과 ‘불교의 미래를 묻다’ 콘텐츠 수록
[원문]
[한국불교신문 홈]
1924년 창간된 국내 대표 전통불교 잡지인 월간 〈불교〉가 2025년 8월호(통권 제765호)를 발간했다. 이번 호는 백중 특집을 중심으로, 수행과 효(孝)를 현대적으로 조명하며, 불교문화의 의례와 세계화에 관한 다양한 기획을 담았다.이번 호 권두언
[더보기]
만해사상실천선양회, 23회 유심상 수상자 선정
[원문]
[금강신문 홈]
만해 한용운 스님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한국 문학 현장에서 문학의 새로운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문학인을 표창하고자 제정된 유심상 제23회 수상자가 선정됐다.(재)설악·만해사상실천선양회(이사장 권영민)는 7월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제23회 유심상
[더보기]
여실(如實)
[원문]
[불교신문 홈]
온 국민들의 열망과 헌신으로 나라가 조금씩 안정을 되찾아 가고 있다.그런데 나라밖 사정은 점점 악화되고 있다.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 미국발 관세 전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침공 미국과 중국의 세력 다툼 여기에 기후 환
[더보기]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환수 조선 ‘시왕도’를 만나다
[원문]
[금강신문 홈]
조선 전기 ‘시왕도’를 만나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8월 1일 용산 개관 20주년 기념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에서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이 새로 환수한 ‘시왕도’ 10점 중 3점을 공개한다.
[더보기]
천태종복지재단 산하 시설 동향
[원문]
[금강신문 홈]
춘천동부福, 2025년 선배시민대회 개최춘천동부노인복지관(관장 종세 스님)은 7월 29일 관내에서 ‘2025년 춘천동부노인복지관 선배시민대회’를 개최해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정책 제안 시간을 가졌다.이번 대회는 초록발자국 봉사단, 안전지킴이 봉사단 등
[더보기]
박준(시)·김상규(시조)·강화길(소설), 올해 유심상 수상
[원문]
[주간불교 홈]
제23회 유심상의 수상자로 시 부문 박준 시인, 시조 부문 김상규 시인, 소설 부문 강화길 소설가가 각각 선정됐다. 수상자에게는 각 부문별로 상금 2,000만원을 수여한다. 올해 평론 부문엔 수상자가 없다. 시상식은 9월 5일 금요일 오후 6시부터.
[더보기]
온전주로라티클럽, 전주서원福에 위문품 전달
[원문]
[금강신문 홈]
국제로타리 3670지구 온전주로타리클럽이 중복을 맞아 전주지역 어르신들을 위한 위문품을 전달했다.국제로타리 3670지구 온전주로타리클럽(회장 박상화)은 7월 30일 금산사복지재단 산하 전주서원노인복지관(관장 석초 스님)에 냉면과 수박 400인분을 전해
[더보기]
“어리석으면 세상이 마냥 좋아 보이네”
[원문]
[불교신문 홈]
마간디야 왕비의 부처님에 대한 증오심은 끝이 없었다. 몇 날 며칠 동안 궁리 끝에 그녀는 마지막 음모를 꾸몄다. 그녀는 왕궁 동산에서 산책하면서 하인을 보냈다. 하인은 마간디야 왕비가 한 말을 삼촌 쫄라마간디야에게 그대로 전했다. “사마와띠 왕비 별궁
[더보기]
“사료(史料)와 사서(史書) 엄연한 2000년 고녕가야 역사”
[원문]
[불교신문 홈]
국사교육은 애국심의 원천(源泉)이지만 우리 고대사는 황국사관에 찌들었고 근현대사는 유물사관에 물들었다. 우리가 국사를 배우는 것은 나의 정체를 알고자 함이요, 공동체인 나라의 뿌리에 닿고자 함이다. 역사를 살피는 작업은 형이상학적인 사상이나 종교적인
[더보기]
처음목록
새로고침
1
2
3
4
5
6
7
8
9
10
제목+태그
본문
이름
닉네임
아이디
등록일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회원가입
|
아이디/패스워드찾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