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문화재 홈 > 문화재 상세정보
리스트로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대원각사비

(大圓覺寺碑)
보물 | 석비 | 1기 | 1963.01.21
서울 종로구 종로2가 38 탑골공원 | 조선 성종 | 국유 | 종로구

원각사의 창건 내력을 적은 비로¸ 조선 성종 2년(1471)에 건립되었다. 원각사는 탑골공원 자리에 있던 절로서 조선시대 태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할 때 조계종의 본절로 세웠다. 조계종이 없어지자 관아로 사용되다가 세조가 간경도감에서『원각경 (圓覺經)』을 번역하고¸ 회암사 사리탑에서 사리를 나누어온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이곳에 다시 원각사를 짓고 13층 사리탑을 세웠다. 비는 머릿돌을 따로 얹지 않고 비몸돌 위를 두 마리의 용이 감싸듯 표현되어 있어 복고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다. 비를 지고 있는 돌거북은 둔중한 몸체로 머리는 목을 표현하지 않고 앞으로 나와 있다. 등무늬는 육각형이 아닌 사다리꼴 평행세선을 새겼으며¸ 등 중앙에는 연잎조각을¸ 꼬리와 다리에는 물고기 비늘을 조각해 놓아 조선시대 조각미의 독특한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비몸돌 위로는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를 드는 두 마리의 용이 조각되었으며¸ 조각 아래의 가운데에는 ‘대원각사지비 (大圓覺寺之碑)'라는 비의 이름이 강희맹의 글씨로 새겨져 있다. 비문은 당대 명신들이 짓고 썼는데¸ 앞면의 비문은 김수온¸ 성임¸ 뒷면의 추기는 서거정¸ 정난종이 각각 짓고 썼다.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