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문화재 홈 > 문화재 상세정보
리스트로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귀부및이수

(高達寺元宗大師慧眞塔碑龜趺및이首)
보물 | 석비 | 1기 | 1963.01.21
경기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417-3 | 고려 광종 | 국유 | 여주군

고달사터에 세워져 있는 비로¸ 원종대사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 원종대사는 신라 경문왕 9년(869)에 태어나¸ 고려 광종 9년(958)에 90세로 입적하였다. 광종은 신하를 보내어 그의 시호를 ‘원종'이라 하고¸ 탑이름을 ‘혜진'이라 내리었다. 현재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이 남아 있으며¸ 비몸은 깨어진 채로 경복궁으로 옮겨져 진열되어 있다. 비문에는 원종대사의 가문·출생·행적 그리고 고승으로서의 학덕 및 교화·입적 등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 한다. 받침돌의 거북머리는 눈을 부릅떠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눈꼬리가 길게 치켜올라가 매우 험상궂은 모습이다. 다리는 마치 땅을 밀치고 나가려는 듯 격동적이고¸ 발톱의 사실적 표현은 땅을 꼭 누르고 있는 듯하다. 목은 길지 않아 머리가 등에 바짝 붙어 있는 듯 하다. 등에는 2중의 6각형 벌집 모양이 정연하게 조각되었으며¸ 중앙부로 가면서 한 단 높게 소용돌이치는 구름을 첨가하여¸ 비를 끼워두는 비좌(碑座)를 돌출시켜 놓았다. 머릿돌은 모습이 직사각형에 가깝고¸ 입체감을 강조한 구름과 용무늬에서는 생동감이 넘친다. 밑면에는 연꽃을 두르고 1단의 층급을 두었다. 이 거북받침돌와 머릿돌은 탑비에 기록된 비문에 의해 975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거북의 머리가 험상궂은 용의 머리에 가깝고¸ 목이 짧고 앞을 똑바로 바라보고 있는 점¸ 비머리의 표현이 격동적이며¸ 특히 소용돌이치는 구름무늬의 번잡한 장식 등은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로 진전되는 탑비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