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문화재 홈 > 문화재 상세정보
리스트로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금동제구층탑

(金銅製九層塔)
보물 | 금속공예류기타 | 1개 | 1963.01.21
서울 종로구 세종로 1-57 국립중앙박물관 | 미상 | 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종사 석조 부도를 고쳐 세울 때 발견된 유물들이다. 청자항아리¸ 금동구층소탑¸ 은제도금육각감이 발견되었고¸ 당시 금동구층소탑과 은제도금육각감은 청자항아리 안에 들어 있었다. 이 탑은 정사각형의 기단 위에 세워진 9층의 작은 탑으로¸ 1층 탑신은 3면에 꽃모양의 출입구를 만들고 출입구의 양쪽 벽에는 격자무늬의 창을 뚫어서 조각해 놓았다. 2층 이상의 각 층에는 앞쪽에만 하나씩의 출입구가 있으며¸ 나머지 쪽에는 격자문과 난간형 모양의 장식이 있다. 각 층의 지붕돌 모서리에는 목탁모양의 장식을 사슬로 꼬아 달았으며¸ 탑 위에는 4면에 세워서 장식한 꽃잎이 한 개씩 있다.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