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望德寺址) 사적 | 사지 | | 1963.01.21 경북 경주시 배반동 956 | 통일신라 신문왕 | 국유¸사유 | 경주시
경주 낭산(浪山)의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절터로 사천왕사와 마주하고 있다. 처음 지어진 때는 정확하지 않으나¸ 신라 문무왕 또는 신문왕 때로 전한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문무왕 19년(679)에 중국 당나라가 침입하자 부처의 힘으로 물리치고자 사천왕사를 짓게 되었다고 한다. 그 소문이 당나라에 전해지자 당에서는 사신을 파견하여 이를 확인하려 하였는데¸ 신라에서는 사천왕사 건너편에 이 절을 지어 보여 주었고¸ 당나라의 덕을 우러른다는 의미에서 망덕사(望德寺)라 하였다고 한다.
경덕왕 14년(755)에 탑이 흔들렸는데¸ 마침 중국에서 안록산의 난이 일어났으므로 신라사람들은 당나라를 위해 지은 절이어서 그렇다고 하였다 한다. 또한『삼국유사』에는 절을 지은 후 잔치를 베풀 때 효소왕이 진신석가를 알아보지 못하여 조롱을 당했다는 이야기와¸ 『반야경』을 베껴쓰다가 죽은 승려 선율이 불경의 완성을 위하여 다시 살아났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현재 절터에는 동·서 목탑터와 그 북쪽으로 금당터와 강당터¸ 남쪽으로 중문터¸ 그리고 이를 둘러싼 회랑터가 남아 있어 통일신라시대 전형의 쌍탑 가람배치를 볼 수 있다. 이밖에 중문터 남쪽에 계단터가 잘 남아 있고 그 서쪽으로는 당간지주(보물 제69호)가 그대로 남아 있다.
당시 이 절은 황룡사¸ 사천왕사¸ 황복사와 함께 경주의 중요한 사찰이었던 곳으로서 그 의미가 크다.